Error/스프링부트(4)
-
[톰캣] 톰캣 설치 후 접속 안될 경우
[문제상황] [로그확인] 터미널 접속 후 아래 명령어로 로그확인 -> 필자의 경우 기존에 삭제한 jdk1.8버전이 JAVA_HOME 경로로 세팅되어있어서 찾을 수 없다는 오류 발생 확인 # 톰캣 logs 폴더로 이동 MacBook-Pro:bin $ cd .. MacBook-Pro:apache-tomcat-10.1.7 $ cd logs # catalina.out 파일 찾기 MacBook-Pro:logs $ ls -arlth total 8 drwxr-xr-x@ 16 staff 512B 2 27 20:25 .. drwxr-xr-x@ 3 staff 96B 4 4 12:48 . -rw-r----- 1 staff 172B 4 4 12:48 catalina.out # catalina.out 내용 확인 (필자의 경우 ..
2023.04.04 -
[스프링부트] 인텔리제이 스프링부트 실행시 오류_ error: could not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
[문제상황] start.spring.io 에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 후 인텔리제이에서 실행시 실행조차 안되고 아래 오류 발생 [해결방법] 인텔리제이 Preferences.. - Gradle 선택 Build and run Using : IntelliJ IDEA (원래 Gradle로 선택되있음) Run tests using : IntelliJ IDEA(원래 Gradle로 선택되있음)
2023.03.27 -
[스프링부트에러] JUnit 실행실패 - " No tsets found with test runner 'JUnit 5' "
스프링부트프로젝트 생성 후 처음으로 JUnit 테스트를 진행해보려고 JUnit Test를 진행할 테스트클래스에서 '우클릭 - Run As - JUnit Test' 클릭 했는데 다음과 같은 경고창이 나타났습니다. 1. JUnit Test를 진행할 테스트클래스에서 '우클릭 - Run As - Run Configurations..' 클릭 2. 'Test runner' 를 'JUnit 4'로 선택 후 Apply버튼 클릭 후 Run버튼 클릭합니다. 아! 그리구 저는 맨 위 경고창띄워진 캡처사진 보면 좌측에 'JUnit'4으로 다운로드상태이기 때문에 JUnit 4로 선택을 하였습니다. (저는 적용후에 캡처를 진행하느라 Apply버튼이 비활성화상태입니다.) 3. 다시 JUnit Test를 진행하면 정..
2020.05.26 -
[스프링부트에러] - "Web server failed to start. Port 8080 was aleady in use" : 스프링부트프로젝트 실행시 포트에러(포트를 여러번 변경했는데도 에러발생시)
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실행하는데 포트에러발생시 포트를 여러번 변경을 해줘도 에러가 발생할 경우 참고해주세용 아 저는 맥북유저입니다 ! [에러내용]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 후에 정상적이 실행확인을 하기위해 스프링 MVC의 컨트롤러를 빈으로 추가해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해보려고 'boot01'프로젝트에 'org.zerook.controller.SampleController'를 생성해주고 스프링 부트를 실행해보았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. [해결방법 1 - 이클립스 내에서 포트 중지] 저의 경우, 기존 프로젝트에서 8080포트를 사용했었는데, 그 프로젝트를 삭제한 후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 후 또 다시 8080포트를 사용하였습니다. 그런데 기존에 포트를 실행중지 시킨 적이 없이 그..
2020.05.24